분류 전체보기 (454)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프링 빈과 의존관계 - 자바 코드로 직접 스프링 빈 등록 회원 서비스와 회원 리포지토리의 @Service, @Repository, @Autowired 애노테이션을 제거하고, SpringConfig를 만들어 직접 스프링 빈을 등록 package hifive.hifivespring; import hifive.hifivespring.repository.MemberRepository; import hifive.hifivespring.repository.MemoryMemberRepository; import hifive.hifivespring.service.MemberService;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Bea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 스프링 빈과 의존관계 - 컴포넌트 스캔 *회원 컨트롤러에 의존관계 추가 package hello.hellospring.controller; import hello.hellospring.service.MemberService;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Controller public class MemberController { private final MemberService memberService; @Autowired public MemberController(MemberService memberService) { this.memberService = memberS.. [회원 리포지토리 테스트 케이스 작성] 회원 리포지토리 테스트 케이스 작성 개발한 기능을 실행해서 테스트 할 때 자바의 main 메서드를 통해서 실행하거나, 웹 애플리케이션의 컨트롤러를 통해서 해당 기능을 실행한다. 이러한 방법은 준비하고 실행하는데 오래 걸리고, 반복 실행하기 어렵고 여러 테스트를 한번에 실행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자바는 JUnit이라는 프레임워크로 테스트를 실행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package hifive.hifivespring.repository; import hifive.hifivespring.domain.Member; import org.junit.jupiter.api.AfterEach; import org.junit.jupiter.api.Assertions; import org.junit.jupiter.. [회원관리 예제] Back-End Develop 1. 비즈니스 요구사항 정리 - 데이터: 회원 ID, 이름 - 기능: 회원 등록, 조회 - 아직 데이터 저장소가 선정되지 않음(가상의 시나리오) 컨트롤러: 웹 MVC의 컨트롤러 역할 서비스: 핵심 비즈니스 로직 구현 (중복 가입 안됨 등등의 서비스 포함) 리포지토리: 데이터베이스에 접근, 도메인 객체를 DB에 저장하고 관리도메인: 비즈니스 도메인 객체 (예: 회원, 주문, 쿠폰 등등 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 됨) 아직 데이터 저장소가 선정되지 않아서, 우선 인터페이스로 구현 클래스를 변경할 수 있도록 설계.데이터 저장소는 RDB, NoSQL 등등 다양한 저장소를 고민중인 상황으로 가정 개발을 진행하기 위해서 초기개발 단계에서는 구현체로 가벼운 메모리 기반의 데이터 저장소 사용 2. 회원 리포지토.. InteliJ 단축키 인텔리제이 단축키 카테고리 - Action 단축키 이동 줄이동 Alt + Shift + ↑↓ 한줄 아래로 복붙 Ctrl + d 코드 한 줄 삭제 Ctrl + y 파일 가장 위, 아래로 이동 Ctrl + Home, End 자동완성 괄호안에서 ;로 코드완성하기 Ctrl + Shift + Enter 변수 추출하기 Ctrl + Alt + v 생성자,Getter와Setter,메서드 오버라이딩 자동완성 Alt + Insert 자바클래스 main메서드 자동생성 main + Tab System.out.println(); 자동완성 메인메서드안에서 sout + Tab System.out.printf(“”); 자동완성 메인메서드안에서 souf + Tab 수정 동일한 변수명 한꺼번에 수정 변수명에서 Shift + F6 실행 .. InteliJ UTF-8 설정 1. IntelliJ JVM Encoding 설정 Help > Edit Custom VM Options 맨 하단에 -Dfile.encoding=UTF-8 를 추가 후 저장, 이후 IntelliJ를 다시 실행 2. Intellij Editor File Encoding 설정 File > Settings 클릭 (단축키 - Ctrl + Alt + S) 그 다음 Editor > File Encodings > Global, Project Encoding, Properties Files 설정을 UTF-8로 변경 [Gradle] Gralde 빌드(2) --> jar 실행 1. build > libs cd build//해당 폴더로 이동 dir // ls == dir 폴더 안 목록 cd libs 2. libs> dir D:\hifiveProject\hifive-spring\build\libs> dir 3. java 실행 java -jar hifive-spring-0.0.1-SNAPSHOT.jar Q. IntelliJ로 했는데 cmd로 빌드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A. 실무에서 개발 할 때 서버에서 빌드를 하는 경우도 많이있다. 서버에서는 cmd만 활용하여 작업하기 때문에 cmd로 빌드 하는 방법을 알아두어야한다. jar 실행 종류 단축키 Ctrl + c [Gradle] 윈도우 cmd 에서 Gradle 빌드 하기(1) 윈도우 - cmd 에서 Gradle 빌드 1. cmd에서 해당 프로젝트 파일로 이동 2. Gradle을 빌드 Window기준 > gradlew ** 빌드 제거하기 gradlew clean build ↓↓ gradle -> build 폴더는 생성됐지만 하위폴더에 libs 폴더가 생성되지 않은 문제 생김... 많은 방법을 실행해보았지만 해결이 되지않아서 4일 끝에 다시 프로젝트를 셋팅하고 시작하였다. 해당 경로 폴더로 이동하여 gradle build build 성공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