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

(227)
Character 기본형데이터타입 03 문자형 데이터 타입 : 문자형 데이터 타입은 char 이라는 데이터 타입인데 "차"라고 읽지않고, "캐릭터"라고 읽어야한다. 왜냐하면 char은 character의 앞 4글자를 딴것이기 때문이다. char은 ASCII 테이블이라는 문자표를 기반으로 만들어져서 숫자 값과 그에 대응하는 문자가 정의가 되어있다. 즉. 우리가 어떠한 문자를 할당하면 그 문자에 대응되는 숫자값이 이진법의 형태로 변수에 저장되는 형태가 된다. 하지만 캐릭터란 데이터 타입 자체는 잘 안쓰게된다. 왜냐하면 char은 한번에 1개의 문자만 다룰 수 있기 때문이다. char 값은 우리가 ''(따옴표)안에 한 글자를 넣어서 만들어주게된다. package day0303; public class Ex02Char { pub..
Real Number 기본형 데이터타입 02 실수형 데이터타입 : 실수형 데이터 타입에는 float(32비트)과 double (64비트)가 있다. java에서는 실수에 대한 기본 데이터 타입을 double로 설정해놓았다. package day0303; public class Ex01RealNumb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double 변수 myDouble을 선언해보자 double myDouble; //myDouble = 1.234 를 할당해보자. myDouble = 1.234; //myDouble 의 현재값을 화면에 출력해보자. System.out.println(myDouble); // 정수 - 실수 타입 캐스팅을 직접 체험해보자 //1. 정수형값을 실수 공간에 할당..
형변환(Type casting) 형변환이란? 자료형을 다른 자료형으로 바꿔주는(=변환해주는) 것을 형변환이라고 한다. 형변환에는 암시적 형변환과 명시적 형변환 2가지가 있다. 1. 암시적 형변환(implicit type casting) 암시적 형변환은 데이터타입의 크기가 더 큰 공간에 데이터타입의 크기가 작은 값을 넣어주거나 실수형 공간에 정수형 값을 넣어줄 때 발생한다. 이때는 별다른 명령어 없이 공간 = 값; 만 하더라도 암시적 형변환이 발생하게 된다. int a = 10; int num = 3.0; (아무 문제 없음) 2. 명시적 형변환(explicit type casting) 명시적 형병환은 데잍타입의 크기가 더 작은 공간에 데이터 타입의 크기가 큰값을 넣어주거나 정수형 공간에 실수형 값을 넣어줄때 발생한다. 방법은 공간 = (..
Integer : 정수형 데이터 타입 [정수란? 소수점이 존재하지 않는 온전한 숫자] 프로그래밍에서는 정수형 기본 데이터타입에 4가지가 존재함. 1. byte (크기: 8비트 (8자리) 범위: -2^7 ~ 2^7 -1 = 1byte ) 2. short (크기: 16비트 (16자리) 범위: -2^15 ~ 2^15 -1 = 2byte ) 3.int(크기: 32비트 (32자리) 범위: -2^31 ~2^31 -1 = 4byte ) 4.long (크기: 64비트 (64자리) 범위: -2^63 ~ 2^63 -1 = 8byte ) 비트 : 2진법 숫자의 자릿수를 뜻한다. 예를 들어 8비트의 경우에는 8자리 2진법 숫자를 뜻한다. 자바에서는 우리가 코들 우리가 코드에 직접 적는 10진법 값을 자동으로 int로 인식하고, 알아서 형변..
자료형(Data Types) : 자료형이란 해당 공간에 저장 가능한 값의 종류를 우리가 자료형이라고 부른다. 자료형에는 크게 기본형과 참조형 데이터타입이 존재한다. A. 기본형 데이터타입(Primitive types) : 기본형 데이터타입이란 해당 공간에 값이 2진법으로 변환되서 직접 저장이 되는 데이터타입을 기본형 데이터타입이라고 한다. 기본형 데이터타입에는 다음과 같은 분류가 있다. ◇ byte short int long (정수형) ◇ float double (실수형) ◇ char (문자형) ◇ boolean (논리형) B. 참조형 데이터타입(Reference types) :참조형 데이터타입이란 해당 공간에 주소값을 저장하고 그 주소값을 "참조"해서 다른 메모리 영역에 있는 그 공간을 가야 실제 값을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 타입..
상수(Constant) 상수란 변수와 마찬가지로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지만 변수와는 반대로 한번 값을 초기화를 하면은 더이상 새로운 값으로 초기화를 하지 못하는 "값이 고정된" 혹은 값이 항"상" 같은 공간을 우리가 상수라고 한다. *상수의 선언 방법* 상수의 선언 방법은 변수의 선언 방법과 매우 유사하지만 데이터타입 앞에 final 이라느 키워드를 붙여서 final 데이터타입 상수이름; 의 형태로 선언을 하게 된다. * 상수의 초기화 방법 * 상수이름 = 값;
변수(Variable) : 내부의 값이 변할 수 있는 공간을 우리가 변수라고 한다. 변수의 경우, 우리가 메모리 주소의 값을 직접 부르는 것이 아니라 해당 공간에 우리가 이름을 짓고 그 이름을 호출하게 되는 형식이 된다.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선언과 초기화라는 단계를 거쳐야 한다. 변수의 선언(Declaration) 우리가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변수가 어떤 종류의 값을 가질 수 있고 그리고 해당 공란을 뭐라고 부를지를 반드시 "선언"해 주어야 한다. 변수를 선언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코드의 형태를 가진다. 데이터타입 변수이름; 데이터타입 : 해당변수가 저장 가능한 값의 종류 변수이름: 소문자로 시작하고 낙타등 표기법을 사용하는 명사 변수의 초기화(Initialization) 변수를 선언하고 나서 우리..
명명 규칙(Naming Covention) 1. 공통규칙 A. 이름에는 _(언더바)를 제외한 특수문자는 사용할 수 없다. B. 이름의 중간이나 맨 마지막에 숫자가 올 수도 있지만 숫자로 이름을 시작할 수는 없다. C. 이제 한글로 이름을 지어줄 수 있긴 하나 절대로 절대로 그러지 말자! D. 자바에서는 내부적으로 실행할 명령어가 정의된 50여가지의 키워드가 존재한다. 해당 키워드들로는 이름을 지어줄 수 없기 때문에 내일 16시에 50여가지 적는 시험 보겠습니다. (옛날 옛적 이야기...) 이클립스에서는 해당 키워드들을 자주색으로 표시해준다. 만약, 어떤 이름을 지어줬는데 자주색으로 표시될 경우, 이름에 변형을 가해주거나 동의어를 사용해주면 된다. 2. 낙타등 표기법과 뱀 표기법 A. 낙타등 표기법(Camel Back Notation) 낙타등 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