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칙연산 = 산술 연산자.
+(더하기), -(빼기) /(나누기), *(곱하기), %(나머지 구하기)
package org.opentutorials.javatutorials.eclips;
public class RemainerDemo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 3;
System.out.println(0%a);
System.out.println(1%a);
System.out.println(2%a);
System.out.println(3%a);
System.out.println(4%a);
System.out.println(5%a);
System.out.println(6%a);
}
}
<결과값>
0
1
2
0
1
2
0
나머지는 오른쪽의 피연산자의 값을 왼쪽의 피연산자의 값으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 수를 의미
나머지에 대해서 잘 모르겠다면 중학 수학 강의를 참고하자.(www.youtube.com/watch?v=TMJ3sNMMGJg)
결과를 자세히 보면 재미있는 규칙성을 발견할 수 있다. 숫자가 0~2를 단위로 순환하고 있다.
나머지를 이용하면 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규칙적으로 순환하는 값을 만들 수 있다.
+ 연산자는 숫자와 숫자를 더할 때 사용되지만, 문자열과 문자열을 결합할 때도 사용된다.
package org.opentutorials.javatutorials.operator;
class ConcatDemo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tring firstString = "This is";
String secondString = " a concatenated string.";
String thirdString = firstString+secondString;
System.out.println(thirdString);
}
}
This is a concatenated string.
그럼 조금 복잡한 사례를 접해보자. 자바는 데이터 타입이 있기 때문에 같은 숫자임에도 정수와 실수라는 형식이 존재한다.
'PL(ProgrammingLanguage)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산자(단항연산자) (0) | 2021.02.28 |
---|---|
연산자(형변환) (0) | 2021.02.26 |
연산자 (0) | 2021.02.18 |
형 변환(Type Conversion) (0) | 2021.02.18 |
상수의 데이터 타입 (0) | 2021.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