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는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의 특정 번지에 붙이는 이름.
프로그램은 변수를 통해 메모리의 '특정' 번지에 값을 저장하고 읽을 수 있다.
메모리에 값을 넣고 싶다면 변수를 선언하고
변수에 값을 지정하면 된다.
그러면
메모리의 어디에 저장하고, 어떤 방식으로 저장할지는
'프로그래밍 언어와 운영체제'가 정한다.
내가 공부하는 자바는 JVM!
'하나의 변수에 동시에 두 가지 값을 정할 수 없다'
변수 선언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변수를 선언해야 한다.
데이터 타입 변수명 ;
Ex) int a;
같은 타입의 변수는 콤마를 활용하여 한꺼번에 선언도 가능
int a,b,c;
예약어
해당 프로그래밍 언너에서 의미를 갖고 사용되고 있는 단어
(변수 이름으로 사용 불가능)
만약, 예약어로 변수이름을 선언하면 컴파일 에러가 발생한다.
기본타입, 접근제한자, 클래스와 관련된 것 등..
값 저장
변수에 값을 저장할 때는 대입연산자 '='을 사용
자바언어에서는 = 는 오른쪽의 값을 왼쪽의 변수에 저장한다는 의미
int a = 1;
해석: int 타입으로 a 변수를 선언하고, 1이라는 정수 값을 a에 저장한다.
자바에서는 변수에 값이 저장되지 않으면 변수가 생성되지 않는다.
(선언과 생성은 다른의미)
즉, 변수에 최초로 값이 저장될 때 변수가 생성된다.
이것을 '변수 초기화' 라 한다.
그리고 이때 사용된 값을 '초기 값'이라 한다.
변수가 초기화 되면 메모리 번지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변수를 통해 메모리 값을 읽을 수 없다.
'PL(ProgrammingLanguage)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0) | 2021.09.10 |
---|---|
null과 NullPointerException (0) | 2021.09.09 |
기본타입과 참조형 타입 (0) | 2021.09.04 |
for each 문 (0) | 2021.09.04 |
array (0) | 2021.09.04 |